같은 문제라도 어떤 휴리스틱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내비게이션’입니다. 어떤 내비게이션은 거리가 가장 짧은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어떤 것은 시간이 적게 걸리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또 교통상황을 고려할 수 도 있습니다. 어떤 휴리스틱을 얼만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경로와 도착 시간에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블라인드 탐색처럼 모든 경로를 순차적으로 찾아본다면 그 중 최고의 해를 찾을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복잡한 문제에서 모든 것을 살펴보는 것은 어마어마한 시간과 노력이 듭니다. 따라서 경험과 짐작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휴리스틱 탐색은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휴리스틱 탐색으로 얻은 답이 최고의 해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어림짐작하여 발견한 좋은 해이지만 아직 발견하지 못한 더 좋은 답이 있을 수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언덕 오를 때를 생각하여 봅시다. 계속 높은 곳을 향해 나아가다가 주변에 더 이상 높은 곳이 없다면 그 곳이 정상이겠지요? 하지만 그림에서처럼 조금만 돌아가면 더 높은 언덕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 남자는 오르막길1보다 내리막길2을 선택했어야 했습니다. 조금 돌아가더라도 정상에 오를 수 있는 길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