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육 2.0 모델
AI 교육 2.0 모델은 'AI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협력교육, 가치교육, 이해교육이 균형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AI 사고력, 메타협력주의, 공진주의, Digitacy가 둘러싸는 구조입니다. 인간과 AI가 상생하는 교육 철학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AI 기본교육
AI에 대한 과학적 기초 이해, 원리 습득, 기본 개념과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 AI의 원리와 핵심 알고리즘 이해
- AI 시스템 구조와 동작방식 학습
- 기초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이해력 강화
AI 협력교육
AI와 인간이 협력하는 실천적 교육, 실제 문제 상황에서 AI와 협력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을 지향합니다.
- 인간과 AI의 협력적 문제해결 경험
- AI 기반 창의적 설계와 공동 프로젝트 활동
- AI를 협력자·파트너로 인식하는 사고전환
AI 가치교육
AI 윤리, 사회적 책임, 인간 존엄성을 이해하고 AI를 인간 중심 가치 실현에 활용하는 역량 함양
- AI 윤리와 철학적 사고력 향상
- AI의 사회적 영향과 부작용 인식
-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반영한 AI 활용
AI 이해교육
AI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AI의 한계와 가능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도록 합니다.
- AI의 기술적 원리와 메커니즘 이해
- AI 데이터 흐름과 학습 과정 습득
- AI 오작동 사례와 한계 비판적 사고력 증진
AI 사고력
AI 사고력은 AI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확장된 사고능력입니다.
- 7단계 사고: 인식→탐색→이해→추론→적용→예측→메타인지
- 추상화, 자동화, 지능화, 자율화 사고 전략 적용
메타협력주의
인간과 AI가 상호작용하며 지속적으로 공동학습하고 메타인지적 사고를 강화하는 교육철학입니다.
공진주의
인간과 AI가 공진화(co-evolution)하여 지속적으로 함께 성장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교육 패러다임입니다.
Digitacy
단순 ICT 역량을 넘어 AI와 함께 디지털 환경을 주도적으로 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입니다.
- 데이터 리터러시와 정보 활용 능력
- 컴퓨팅 사고력과 디지털 주체성 함양
- 디지털 시민성과 윤리적 AI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