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로봇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을까요? 지능이 있는 컴퓨터와 지능이 있는 로봇은 무엇이 다른점일까요. 무엇이 있어야 로봇이라고 부를 수 있는걸까요?
Part 2.
로봇의 원리와 구조
로봇의 원리
그렇다면 이런 로봇들은 어떻게 움직이고 작동할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의 로봇들은 인간이 직접 조작하거나 프로그래밍을 하여 로봇을 작동했습니다.
출처: 픽사베이
요즘 교육 현장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블록 코딩 프로그램)를 예로 자세히 알아봅시다.
출처: SCRATCH
위와 같이 코딩하고 명령을 실행하면 스프라이트는 처음에 있던 방향에서 오른쪽으로 90도만큼 회전한 후 100만큼 움직이게 됩니다. 이때, 스프라이트를 로봇이라고 생각을 한다면 로봇은 인간이 명령을 한 대로 스프라이트처럼 순서대로 명령을 실행할 것입니다.
출처: SCRATCH, 픽사베이
이렇게 로봇은 인간의 명령을 받고 동작을 하지만 지능형 로봇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합니다. 물론 그렇게 동작할 수 있게 인간이 처음에 프로그래밍을 하겠지만 지능형 로봇은 처음의 프로그래밍을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하여 더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출처: 픽사베이
또한 과거의 로봇의 경우는 지식과 명령을 통해 프로그래밍 된 명령이나 그 지식에 맞춘 동작이나 행동만을 수행하는데에 비해 현재의 로봇은 주변의 상황과 새로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지, 학습하여 새로운 자료와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예를 들어, 몸이 아픈 노인을 돕는 로봇을 개발하였다고 했을 때 과거에는 ‘노인에게 물을 갖다 드려라.’ 또는 ‘노인을 부축하여 걸어가라.’ 라고 명령을 하거나 조작하였다면 현재와 미래에는 목마른 노인의 표정을 인식하고 물을 갖다 드리거나, 노인이 일어나려고 하는 모습을 인식하고 먼저 다가가서 부축을 할 수 있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 그림을 그리는 로봇이라면 인간이 빨간색으로 색칠하라는 명령을 내려야만 색칠할 수 있던 로봇이 과거의 로봇이라면 현재와 미래의 지능형 로봇은 다양한 작품을 학습하고 주변의 색깔과 어울리는 색을 골라 스스로 색칠까지 할 수 있게 됩니다.
로봇의 구조
로봇의 앞에 물건이 있다면 센서가 물건을 인식하고 물건을 잡으라고 제어 장치에서 판단을 하면 구동 장치로 물건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인간의 명령,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센서의 인식으로 로봇이 움직인다고 간단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로봇이 움직일 때에는 더 복잡한 과정이 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로봇 공학이나 로봇 역학,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전문 분야의 학습이 필요할 것입니다.
출처: 픽사베이
Think Good AI
로봇과 지능형 로봇을 사용하여 각각운전을 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일까?
–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할 때 – 자율주행 자동차가 스스로 학습하여 차를 움직일 때
Part 2. 로봇의 원리와 구조 Quiz
1. 인간이 로봇을 움직이기 위해 로봇이나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명령어를 만드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Correct!Wrong!
2.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로봇을 무엇이라고 할까요?